맨위로가기

로타르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타르 3세는 독일 군주,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며, 로타르 1세와 로타르 2세에 이어 3세로 불린다. 그는 주플린부르크 백작의 아들로 태어나 작센 공작을 거쳐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으며, 1133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했다. 로타르는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권력 투쟁과 보헤미아, 이탈리아 원정을 겪었으며, 시칠리아 왕국을 견제하기 위한 이탈리아 원정 중 사망했다. 그의 사후,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콘라트 3세가 왕으로 선출되었고, 로타르의 사위는 왕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신성 로마 황제 -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4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서임권 투쟁으로 교황과 대립하고 아들에게 폐위되어 사망했다.
  • 12세기 신성 로마 황제 - 하인리히 6세
    하인리히 6세는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시칠리아 왕국의 왕이었으며, 콘스탄차와의 결혼을 통해 시칠리아 왕위를 계승하려 했고,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를 포로로 잡아 권력을 강화하려 했으나 급사하여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
  • 1075년 출생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1075년 출생 - 금 태종
    금 태종은 금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요나라를 멸망시키고 북송을 공격하여 멸망시킨 후 영토를 확장했으나, 조카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사망했다.
로타르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타르 2세, 신성 로마 황제
로타르의 초상, 풀다 수도원 1150/1160 코덱스 에버하르디
이름로타르 3세
칭호로마 황제
출생일1075년 6월 9일 이전
출생지작센 공국 루터로
사망일1137년 12월 4일
사망지바이에른 공국 티롤, 브라이텐방
매장지쾨니히슬루터
배우자리헨차 폰 노르트하임 (1107년 결혼)
자녀게르트루트, 바이에른 공작 부인
가문쥐플링겐부르크 가문
아버지게프하르트 폰 쥐플링겐부르크
어머니헤트비히 폰 포름바흐
통치
즉위 (로마 왕)1125년
대관일 (로마 왕)1125년 9월 13일, 아헨
즉위 (신성 로마 황제)1133년–1137년
대관일 (신성 로마 황제)1133년 6월 4일, 로마
선임자 (로마 왕)하인리히 5세
후임자 (로마 왕)콘라트 3세
선임자 (신성 로마 황제)하인리히 5세
후임자 (신성 로마 황제)프리드리히 1세
통치 (이탈리아)1125년–1137년
선임자 (이탈리아)하인리히 5세
후임자 (이탈리아)콘라트 3세

2. 순서 매김의 문제

독일 군주 순서를 매길 때 카롤링거 왕조의 동 프랑크 왕국을 독일 왕국의 기원으로 본다. 로타르 3세의 '''3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던 로타르 1세(재위:843-855)와 독일왕 로타링기아의 로타르 2세 (재위:855-869)를 잇는다는 의미이다. 그는 스스로를 세 번째 로타르라는 뜻의 Lotharius tertius라 칭하기도 했다. 이탈리아 군주로서는 로타르 1세와 로타링기아의 로타르 2세, 로타리오 3세를 이어 '''로타리오 4세'''로 불린다. 그러나 로타르 2세나 로타리오 3세가 신성 로마 황제가 되지 못하고 독일 전체를 완전히 통치하지 못했기 때문에 '''주플린부르크의 로타르'''를 '''로타르 2세'''로 부르기도 한다.

2. 1. 독일 왕으로서의 순서

독일 군주 순서를 매길 때 카롤링거 왕조의 동 프랑크 왕국을 독일 왕국의 기원으로 본다. 로타르 3세의 '''3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던 로타르 1세(재위:843-855)와 독일왕 로타링기아의 로타르 2세 (재위:855-869)의 뒤를 잇는다는 의미이다. 한편 그는 스스로를 세 번째 로타르라는 뜻의 Lotharius tertius라 자칭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군주로서는 로타르 1세와 로타링기아의 로타르 2세, 로타리오 3세의 뒤를 이어 '''로타리오 4세'''로 불린다. 그러나 로타르 2세나 로타리오 3세가 신성 로마 황제가 되지 못하고 독일 전체를 완전히 통치하지 못했기 때문에 '''주플린부르크의 로타르'''를 '''로타르 2세'''로 부르기도 한다.

2. 2.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서의 순서

독일 군주의 순서를 매길 때 카롤링거 왕조의 동 프랑크 왕국을 독일 왕국의 출현으로 본다. 로타르 3세의 '3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던 로타르 1세(재위:843-855)과 독일왕 로타링기아의 로타르 2세(재위:855-869)의 뒤를 이어 붙인 것이다. 한편 그는 스스로를 세 번째 로타르라는 뜻의 Lotharius tertius라 자칭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군주로서는 로타르 1세와 로타링기아의 로타르 2세, 로타리오 3세의 뒤를 이어 '''로타리오 4세'''로 부른다. 그러나 로타르 2세나 로타리오 3세가 신성 로마 황제가 되지 못하고 완전히 독일 전체를 통치하지 못했기 때문에 '''주플린부르크의 로타르'''를 '''로타르 2세'''로 부르기도 한다.

3. 생애

로타르 3세는 1075년 주플린부르크 백작 게프하르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신성로마제국의 하인리히 4세와 싸우다 전사하기 직전이었다.[7] 그는 대머리 카를과 오토 1세의 후손이기도 하다.

집시 족과 교전하는 로타르 3세
(14세기 작품)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며, 1088년에 처음으로 당대 기록에 그의 이름이 등장한다. 그는 아버지의 막대한 영지를 물려받았고, 결혼 동맹을 통해 작센과 북부 독일에서 가장 강력한 제후 중 하나가 되었다.[7]

3. 1. 작센 공작 시절

로타르는 1075년 아버지 게프하르트(게프하르트 수플링부르크 백작)가 신성로마제국의 하인리히 4세와 싸워 전사하기 직전에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막대한 영지를 물려받고 노르트하임과 브라운슈바이비크 가문과 결혼하여 작센과 북부 독일에서 가장 강력한 제후가 되었다.[7] 1106년 하인리히 5세가 아버지 하인리히 4세에게 반기를 들고 일어났을 때 하인리히 5세를 도왔고, 그 대가로 작센 공작에 임명되었다.[10]

그러나 그는 곧 하인리히 5세와 세금 문제 등으로 종종 대립하였고 서임권 분쟁 때에는 하인리히에게 공공연히 반대하였다. 1111년 샤우엔부르크의 아돌프 백작에게 새로 설립된 홀슈타인 백작령을 부여함으로써 자율적으로 행동했다. 로타르는 1112년 하인리히가 공작 작위를 발렌슈테트의 오토 백작에게 넘겨주면서 일시적으로 폐위되었지만, 오토 백작이 불명예스러워지자 전략적으로 하인리히 5세에게 복종하여 곧 복권되었다. 1115년 벨페스홀츠 전투에서 황제 하인리히의 군대를 격파하기도 하였다. 하인리히는 작센의 행정과 수입에 대한 통제력을 완전히 상실했다.[9] 1123년 하인리히 5세가 그로이츠슈의 비프레히트 백작에게 마이센 변경백령을 부여했을 때, 로타르는 베틴의 콘라트 백작의 임명을 강행하고 루사티아 변경령을 베어의 알베르트 백작에게 할양했다.[10][5][11]

3. 2. 독일 왕 즉위

1125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5세가 사망하자, 마인츠 대주교 아달베르트는 마인츠에서 왕위 선거 회의를 소집했다. 8월 24일 선제후들은 주요 경쟁자였던 호엔슈타우펜 가의 프리드리히 2세 공작의 후보 자격을 거부했다. 프리드리히는 지나친 자신감과 자유로운 제후 선거를 거부하는 태도로 인해 스스로 기회를 망쳤다. 아달베르트는 로타르 3세를 적합한 후보로 여겼다.[12] 그는 작센에서 가장 강력한 영주였지만, 50세가 넘는 고령이었고 남자 상속인이 없어 장기적인 왕조를 이을 이상적인 조건은 아니었다. 그는 독일 왕으로 선출되어 오스트리아 변경백 레오폴트 3세와 샤를르 르 본에 맞서 싸웠다.[13] 그의 선출은, 살리 왕조 시대의 억압 이후 선제후들이 온건한 권력을 가진 군주를 선호하면서, 세습 계승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14]

1125년 보헤미아 공작 블라디슬라프 1세가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을 자리를 놓고 그의 동생 소베슬라프 1세와 그의 모라비아 사촌 오토 2세, 그리고 블라디슬라프의 미망인 베르크의 리체자가 지지하는 오토 2세가 다투었다. 1125년 말 로타르는 많은 돈을 지원한 오토의 편에 섰다.[16]

소베슬라프에 대한 군사 작전이 시작되었고, 1126년 2월 로타르의 군대는 보헤미아 영토에 진입했지만 곧 클루메츠 전투에서 패했다. 소베슬라프는 알브레히트 1세와 튀링겐의 루이 1세와 같은 고위 귀족들을 포로로 잡았다. 그러나 소베슬라프는 즉시 로타르의 진영으로 가서 공식적으로 보헤미아의 봉토를 요청하고 받았다. 평화가 회복되고 포로들이 풀려났다. 전투에서 승리한 자가 패배한 자에게 복종했지만, 그는 완전한 정통성과 지속적인 명성을 확보했다.[17] [18]

잘리어 왕조와 호엔슈타우펜 가의 정치적 적대자였던 수플린부르크 왕조 출신 로타르 3세가 왕실 재산으로 간주하는 재산을 프리드리히 2세 공작이 넘겨주기를 거부하면서 분쟁이 발생했는데, 호엔슈타우펜 측은 그 재산이 잘리어 유산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문제의 자산은 오랫동안 다른 잘리어 가문의 영지와 함께 관리되어 왔으며, 그 기원을 밝히고 분리하는 것이 어려웠다. 로타르는 문제의 모든 자산이 잘리어 왕조의 멸망으로 인해 이제 모두 황실 재산이 되었다는 원칙을 주장했다. 로타르와 호엔슈타우펜 가문 사이의 첫 무장 충돌은 1125년 초에 발생했고, 그 후 몇 년 동안 더욱 심해졌다. 레겐스부르크에서 열린 제후 회의에서 승인을 얻은 로타르는 황실령을 장악하려 했고, 이는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그러자 로타르는 프리드리히 2세를 제국 금지령 아래 두고 콘라트에게서 프랑켄 공작령을 박탈하여 그를 고립시켰다.[19]

1127년 로타르가 호엔슈타우펜 가문에 대한 원정을 뉘른베르크 성문 앞에서 실패한 후, 슈바벤과 프랑켄 사람들은 프리드리히의 동생 콘라트를 반왕 콘라트 3세로 선포했다. 1128년 콘라트는 왕위를 확보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가서 밀라노 대주교 안셀무스 5세에게 이탈리아 왕으로 즉위했다.[13] [19] 로타르는 콘라트의 부재와 약한 입지를 이용하여 호엔슈타우펜 가문에 대한 공격을 재개하여 1129년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도시인 뉘른베르크슈파이어를 정복했다. 반면 콘라트는 이탈리아에서 원하는 지원을 얻지 못하고 정치적 진전을 이루지 못한 채 1130년에 돌아왔는데, 이는 적어도 로타르에게 부분적인 승리를 보장했다.[19] [20]

3. 3.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즉위

1130년 호노리오 2세가 서거하자, 인노첸시오 2세와 아나클레투스 2세 두 명이 교황을 자칭하며 대립하는 이른바 교황 선출 대분열 상황이 발생했다.[51] 인노첸시오 2세는 로타르 3세에게 접근했고, 아나클레투스 2세는 시칠리아 백작 루지에로 2세에게 접근하여 1130년에 그의 왕위를 인정받아 시칠리아 왕국이 성립되었다.[51]

1133년 6월 4일, 로타르 3세는 라테라노 대성당에서 인노첸시오 2세로부터 황제의 관을 받았다.[52] 이때, 제국 내 교회에 대해 황제가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받았다.[52] 이러한 교황의 타협은 로타르 3세를 이용하여 대립교황 아나클레투스 2세와 양시칠리아 왕국을 타도하려는 의도가 컸다.[53]

로타르 황제는 왕권에 대한 교황의 방해에 명시적인 저항을 피했다. 그는 인노첸티우스가 발표한 교황의 권위가 황제보다 우위에 있다는 내용의 교서를 무시했고, 토스카나의 마틸다가 소유했던 북부 이탈리아의 광대한 마틸다 영지에 대한 교황의 주장을 인정했지만, 영토 봉토는 확보할 수 있었다.[26][16]

3. 4. 남부 이탈리아 원정과 죽음

Lothar III.de는 1136년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남부 이탈리아 원정을 시작했다.[30][32] 이 원정은 성공적이었고, 실제로 시칠리아의 로제르 2세는 곧 평화를 추구했다. 로타르가 이끄는 부대와 사위 헨리 자랑스러운 자가 이끄는 다른 부대가 이탈리아에 도착했다.[30] 트론토 강에서 로리텔로의 윌리엄 백작은 로타르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테르몰리의 성문을 열었다. 반도 남부 깊숙이 진격한 두 군대는 바리에서 만났다.[16][33] 1137년 더 남쪽으로 진군했다.

그러나 황제군은 무더운 여름 동안 원정에 반대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시칠리아 완전 정복을 바랐던 황제는 대신 로제르로부터 카푸아와 아풀리아를 빼앗아 로제르의 적들에게 넘겨주었다.[34] 결국 황제와 교황은 공동으로 그 공국을 알리페의 라인울프에게 넘겨주었다.[34] 로타르는 1137년 8월부터 10월까지 살레르노에 머물렀고, 그의 이름으로 구리 주화(''폴라리(follari)'')를 주조했다.[35]

귀환 여정 중 그는 사위인 바이에른의 하인리히에게 토스카나 변경백령과 작센 공국을 주었다. 또한 그는 하인리히에게 황제 휘장을 주었는데, 이는 관점에 따라 새로운 국왕으로 지명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했다. 1137년 12월 3일, Lothar III.de는 브라이트방에서 귀환 여정 중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부패를 막기 위해 삶아졌다[36] 그리고 그의 유골은 그가 매장지를 선택하고 1135년에 초석을 놓았던 크니글루터에 있는 성 베드로와 성 바울의 교회로 옮겨졌다.[37]

3세, 그의 아내 리켄차, 그리고 사위인 바이에른의 하인리히의 석관. 크니글루터 수도원 교회(카이저돔)에 안치되어 있다.

3. 5. 동방 진출

로타르 3세는 Sachsende 출신으로, 이전과 미래의 다른 군주들보다 북동부 지역에 더 집중했다. 그는 1111년 홀슈타인 백작 아돌프 1세를 홀슈타인과 슈토르마른에 임명했을 때부터 활발한 영토 정책을 추구했다.[24]

1134년, 로타르는 아스카니아 가문의 알브레히트 곰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으로 임명했다.[24] 1136년에는 마이센 변경백이었던 콘라트 대공을 루사티아 변경백으로 임명하여 두 변경령을 통합했다.[24] 또한 그는 교황에게 브레멘 대주교구와 마그데부르크 대주교구의 행정 권한을 더 부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24] 1135년 에리크 2세 덴마크 국왕은 황제의 제후이자 국회 의원이 되었다. 로타르의 외교적 노력으로 폴란드 공작 볼레스와프 3세 곡구는 1121년에 설립된 폼메른 공국에 대한 조공을 지불하게 되었다. 폼메른 공국은 뤼겐 섬과 함께 신성 로마 제국의 봉토로 확보되었다.[24]

1477년 폼메른 공국

4. 유산

로타르 3세의 통치는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권력 투쟁으로 점철되었지만, 동방 진출 정책 등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의 정책은 이후 독일의 동방 식민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중세 독일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로타르 3세는 리히엔차와의 사이에서 게르트루트라는 딸 한 명을 두었다.[38] 그는 왕으로 선출되기 위해 벨프 가문의 지지를 확보하고자 1127년 5월 29일 게르트루트를 하인리히 10세와 결혼시켰다. 이 결혼은 이후 벨프 가문과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1137년 로타르 3세가 사망한 후,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콘라트 3세가 왕으로 선출되었다. 로타르의 사위이자 상속자인 하인리히 10세는 콘라트 3세를 인정하지 않았고, 콘라트 3세는 하인리히 10세의 모든 영토를 박탈했다.

참조

[1] 서적 Germany: A Short History
[2] 서적 Tavole cronologiche de'consoli ordinarj, papi, imperadori, re de' Romani, re d'Italia, prefetti di Roma, dogi di Venezia, e di Genova, de' quali si fa menzione negl' Annali d'Italia dal principio dell' era volgare sino all' anno MDCCL https://play.google.[...]
[3] 서적 Frederick Barbarossa: The Prince and the Myth http://www.mgh.de/dm[...]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Kaiser Lothar III.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5] 서적 Lothar von Supplinburg https://archive.org/[...] Duncker & Humblot
[6] 서적 König Konrad III. (1138-1152): Hof, Urkunden und Politik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Wien
[7] 서적 Unknown
[8] 서적 Geschichte des Deutschen Reiches unter Lothar dem Sachsen: Eine ... gekrönte Preisschrift https://books.google[...] Veit
[9] 서적 Unknown
[10] 서적 Lothars III. Kampf mit den Staufern https://books.google[...] diplom.de 2004-11-03
[11] 웹사이트 Studien zum Hof Heinrichs V. https://hss.ulb.uni-[...] Uni Bonn 2020-02-03
[12] 서적 Unknown
[13] 서적 Unknown
[14] 서적 Unknown
[15] 웹사이트 Fidi milites? Die Staufer und Kaiser Heinrich V.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0-02-10
[16] 서적 Die Hohenstaufen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17] 웹사이트 The battle of Chlumec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 between Lothair III and prince Sobieslav I https://www.research[...] 2020-02-12
[18] 서적 Ritual and Politics: Writing the History of a Dynastic Conflict in Medieval Poland https://books.google[...] BRILL
[19] 서적 Unknown
[20] 서적 Handbuch der bayerischen Geschichte Bd. III,1: Geschichte Frankens bis zum Ausgang des 18. Jahrhunderts https://books.google[...] C.H.Beck 2017-02-14
[21] 웹사이트 ODas grosse Burgenbuch der Schweiz https://trove.nla.go[...] NLA 2020-02-17
[22] 서적 Thüringen: von den thüringischen Kleinstaaten nach Zerfall des Alten Reiches bis zum Freistaat Thüringen : eine völkerrechtliche und verfassungsrechtliche Betrachtung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3] 서적 Princely Brothers and Sisters: The Sibling Bond in German Politics, 1100–1250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01-15
[24] 서적 Mecklenburg-Vorpommern: mit Rügen und Hiddensee, Usedom, Rostock und Stralsund https://books.google[...] Trescher Verlag
[25] 서적 History of the Church: From the High Middle Ages to the eve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Burns & Oates
[26] 서적 Unknown
[27] 서적 Unknown
[28] 서적 Lives of the Popes in the Middle Ages, Vol. IX: 1130-1159
[29] 서적 History of the Italian Republics in the Middle Ages
[30] 서적 Unknown
[31] 서적 The British Cyclopædia of Biography
[32]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8-02
[33] 서적 Roger II of Sicily: A Ruler Between East and We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4-04
[34] 서적 Unknown
[35] 서적 Medieval European Coinage. Vol. 14: Italy (III) (South Italy, Sicily, Sardin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논문 Amino acid racemization in bone and the boiling of the German Emperor Lothar I
[37] 서적 Bryce
[38] 서적 Comyn
[39] 문서 菊池、p. 85では「ズップリンゲンベルク家」と記されている。
[40] 문서 로마 왕은 제위의 전제가 된 동프랑크 왕위에서 개칭된 칭호. 현대에서 보면 실질적으로 독일 왕이지만, 당시 국가·지역·민족으로서의 독일은 성립 단계이다. 또한 [[이탈리아 왕국 (중세)|이탈리아]]와 [[아를 왕국|부르군트]]에 대한 종주권을 갖는다.
[41] 문서 황제로서도 독일 왕으로서도 두 번째 로타르이지만 "3세"를 자칭하고 있으며, 로타링기아 왕[[로타르 2세]], 또는 이탈리아 왕[[로타리오 2세 (이탈리아 왕)|로타리오 2세]]를 끼운 숫자라고 생각된다.
[42] 문서 당시에는 아직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국호는 없었고, 고대 로마 제국 내에서 로마인과 혼교한 게르만 여러 나라 및 그 후계 국가군의 총칭을 막연하게 로마 제국이라고 불렀고, 황제는 고대 제국의 잔재인 로마 교회의 교황에 의해 임명되어 즉위했다. 신성 로마 황제는 역사학적 용어로 실제 칭호가 아니다.
[43] 서적 瀬原
[44] 서적 瀬原
[45] 서적 瀬原
[46] 문서 성세 외, p. 212에는, 마인츠 대주교 아달베르트가 호엔슈타우펜가를 왕위에서 멀리하기 위해 책략을 꾸몄다는 설이 소개되고 있다.
[47] 서적 성세 외
[48] 서적 성세 외
[49] 서적 瀬原
[50] 서적 성세 외
[51] 서적 瀬原
[52] 서적 瀬原
[53] 서적 瀬原
[54] 서적 瀬原
[55] 서적 瀬原
[56] 서적 瀬原
[57] 서적 성세 외
[58] 서적 Tavole cronologiche de'consoli ordinarj, papi, imperadori, re de' Romani, re d'Italia, prefetti di Roma, dogi di Venezia, e di Genova, de' quali si fa menzione negl' Annali d'Italia dal principio dell' era volgare sino all' anno MDCCL' https://play.google.[...] Ro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